- 적정후보자 모델
- 어떤사람이 AAC 지원을 필요로 하는지, 또는 AAC 지원을 지속적으로 필요로 하는지를 결정하는 것.
- AAC 서비스를 받기에 너무 어리거나, 나이가 많거나, 인지적으로 장애가 심한 등의 경우
- 준비가 안된 사용
- 인지 수준과 언어, 의사소통 기능 수준의 불일치 양이 불충분한 것
- 의사소통 요구모델
- AAC 서비스의 정의가 문제를 읽고 쓸 수 없는 사람이 이용할 수 있는 의사소통 전략과 테크놀로지를 포함하는 것으로 확대
- 사람들이 불충분한 능력으로 인해 AAC서비스에서 제외될 경우 이러한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필요한 경험, 교수 및 연습 또한 박탈된다는 것이 점점 더 분명해 졌고, 선수기술의 개념이 포기되었으며, 미래를 위한 능력을 키우면서 현재를 위한 개인의 요구와 능력을 조화시키고자 하는 중재가 구성
- 참여모델
- AAC를 통해 의사소통할 사람과 생활연령이 같은 일반 또래의 기능적인 참여에 기초하여 AAC 평가를 수행하고 중재를 계획할 수 있도록 하는 체계적인 과정을 보여줌
Special Education
MENU
2015 개정 특수교육과정
2025 정시모집
6개음검사
개별화교육계획
건강관리
건강장애
공황장애
교수학습
교육학
대학입시
말소리바나나
서강대
서강대학교
수업자료
시각장애
우울장애
의사소통장애
자기기록
자폐범주성장애
장애대학
장애등급
장애이해
장애인대학지원
장애인복지법
장애전형
장애학생대학입시
적대적 반항장애
전환교육
정서행동장애
정시모집
정신지체
중도장애
지적장애
지체장애
청각장애
최소위험가정
카톨릭대학교
통합교육
특수교육
특수교육교육과정
특수교육대상학생 대학입시
특수교육법
특수교육보조원
특수교육지원센터
평생교육
학습된 무기력
학습장애
한양대
한양대학교
흰지팡이
DSM-5
AAC 평가모델
라벨:
의사소통장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