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각 단계별로 심리적, 사회적 위기가 있는데, 이를 어떻게 극복하는가
- 단계별로 긍정적인 면을 달성해야 자아가 제대로 형성
- 신뢰감 대 불신감 (출생-1세) (어머니)
- 일관성, 계속성, 통일성 있는 경험이 주어지면 신뢰감
- 거부적, 무관심, 행동에 일관성이 없을 때 불신감
- 자율성 대 의혹감 (2-3세) (아버지)
- 자기자신의 방법과 속도에 따르는 기능이 발휘될 수 있도록 할 때 자율성
- 과보호 또는 적절한 도움 결핍시 의혹감
- 주도성 대 죄책감 (4-5세) (가족)
-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자유가 주어지고 질문에 충분한 대답이 주어지면 주도성
- 자기주도적 활동이나 환상에 대해 처벌하거나 금기시, '나쁜' 것으로 느끼도록 하면 죄책감
- 근면성 대 열등감 (6-11세) (이웃, 학교)
- 일을 하거나 물건을 만들 수 있도록 허락하고, 성취시 칭찬을 하면 근면성
- 활동을 제한하거나 결과를 비판하면 열등감
- 정체감 대 혼미감 (12-18세) (또래집단)
- 자기 성격의 동일성과 계속성을 주위로부터 인정을 받게되면, 정체감
- 성역할과 직업선택에서 안정성을 확립할 수 없다면 혼미감
- 친근감 대 고립감 (19-35세, 성인초기) (이성친구)
- 부모로부터 독립, 직업선택, 배우자 선택 등 성인으로서의 역할 시작하면서 우정 또는 성적 결합의 형태로 타인과 친밀한 관계를 수립. 자신의 정체감을 타인과 잘 융화시키면 친근감
- 융화시키지 못하면 타인과의 접촉을 회피하거나 거부적, 공격적이 되면서 고립감
- 생산성 대 침체성 (35-50세, 중년기) (배우자)
- 다음 세대를 가르치고 지도하거나 사회봉사 등을 통해 생산성을 발휘
- 생산성 발휘에 실패하면 침체감, 따분함, 빈곤한 대인관계를 나타냄
- 자아통정감 대 절망감 (노년기) (인류)
- 성취감과 만족감으로 생을 회고하며 성패에 잘 적응했다면 자아통정감 (자신의 위치와 과거를 수용).
- 자신의 삶이 무의미한 것이었다고 느끼면 절망감
Special Education
MENU
2015 개정 특수교육과정
2025 정시모집
6개음검사
개별화교육계획
건강관리
건강장애
공황장애
교수학습
교육학
대학입시
말소리바나나
서강대
서강대학교
수업자료
시각장애
우울장애
의사소통장애
자기기록
자폐범주성장애
장애대학
장애등급
장애이해
장애인대학지원
장애인복지법
장애전형
장애학생대학입시
적대적 반항장애
전환교육
정서행동장애
정시모집
정신지체
중도장애
지적장애
지체장애
청각장애
최소위험가정
카톨릭대학교
통합교육
특수교육
특수교육교육과정
특수교육대상학생 대학입시
특수교육법
특수교육보조원
특수교육지원센터
평생교육
학습된 무기력
학습장애
한양대
한양대학교
흰지팡이
DSM-5
에릭슨(Erikson)의 자아발달 단계
라벨:
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