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언어성 학습장애아동은 일반적으로 언어성IQ점수보다 동작성IQ점수가 유의하게 더 낮으며 일반적으로 언어적인 강점에 의해 평균 이상의 인지적 기술을 가진다. 그러나 복잡한 공간관계나 논리적인 질서와 배열 등과 같은 비언어적인 과정에 대한 요구가 많아지는 중등학교 연령기에 접어들면서 심각한 어려움을 갖게 된다. 비언어성 학습장애아동은 신체적인 방법으로 표현되는 우울, 불안 같은 감정의 문제를 초래 할 수 있다.
시지각의 정확도, 정신운동성 기능의 협응 속도, 시각 공간적인 조직력 등 기능 전반에 걸쳐 비효율성을 나타내는 것은 동작성 지능의 저하와 촉각, 시각, 복잡한 정신운동 기술면에서 어려움을 갖고 새로운 자극에 대한 탐색 능력의 장애를 보인다. 글씨의 형태상의 왜곡, 공간적 개념이 필요한 수학적 계산의 오류를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