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완대체 의사소통체계는 의사소통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사용하는 상징, 보조도구, 전략, 전달방법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1. 의사소통 방법을 선택하는 것은 현재의 학생과 환경에 대한 진단에 기초해야 하며, 학생의 신체적, 인지적, 의도적 의사소통 능력에 대한 지식과 학생을 위한 의사소통 기회와 장애요인들에 대한 지식도 필요로 한다.
2. 자연적 접근 이외에도 새로운 의사소통 방법을 사용하는 연습을 더 필요로 할 수도 있다. 기능적 상황에서 가르치기 위해 '잘 준비될 때' 까지 기다리는 것은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
3. 의사소통체계를 기능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대화 상대자가 의사소통 시도에 반응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학생의 의사소통체계에 대한 지식이 있어야 한다.
4. AAC를 사용하는 것이 학생이 말하는 것을 배울 가능성을 감소시킨다는 증거는 전혀 없다. 오히려 비구어저거인 것과 구어적인 의사소통 형태를 함께 제시하는 것이 두가지 모두를 배우는 것을 촉진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