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그림자교수
교수는 일반교육교사가 주로 구체적인 내용을 가르치는 반면에, 특수교육교사는 학습이나 행동에 문제를 가진 학생 한두명을 대상으로 옆에서 직접 가르친다.
2. 교수-지원형태
일반교육교사가 전반적인 교수활동을 주도하고, 특수교육교사는 학급 주변을 순환하며 개별적으로 학생에게 지원을 제공한다.
3. 스테이션 교수
일반교육교사와 특수교육교사가 하위집단 학생에게 다른 내용을 가르치는데, 이 학생들은 한 학습이 끝나면 학습 위치를 교대한다. 이 형태에서는 교육과정 내용이 두 부분으로 나뉘어 진다.
4. 평행교수
두 교사가 학급의 학생을 반으로 나누어 각 교사가 따로 따로 반을 교수하므로 개별화 교수가 가능하다.
5. 보완적 교수
일반교육교사가 주로 구체적인 학습내용을 가르치고, 특수교육교사는 학습능력이나 교과학습과 관련된 기능을 주로 가르친다.
6. 지원적 교수
일반교육교사는 주로 구체적인 내용을 가르치고, 특수교육교사는 학생들에게 내용의 보충적이고 구체적인 학습활동을 개발하고 이행한다.
7. 대안적 교수
일반교육교사는 대부분의 학생 교수에 책임을 지고, 특수교육교사는 교육과정 수정을 요구하는 학생들의 집단을 가르친다.
8. 팀 교수
두 교사가 한 교실 안에서 공유된 교수 지도력을 보인다. 두 교사는 교수적 활동에 동등하게 참여한다. 일반교육교사와 특수교육교사는 계획 세우기, 교수하기, 교육내용을 수행하고 평가하는데 동등한 책임감을 공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