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관리 요구와 교육적인 일상의 통합

다음의 세가지 교수전략이 건강관련 절차들을 교육적인 일상과의 통합으로 촉진시킨다.

1. 우발교수
 흥미 또는 요구를 찾는 과정에서 학생의 주도를 교사가 따르는 절차
 학생의 신호나 주도에 교사가 일단 반응을 했다면, 교사는 특정한 기술을 연습할 기회를 제공한다.
 우발교수는 주로 언어 교수 맥락에서 사용되는 데 학생의 건강관리 절차의 요구에 반응할 때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학생으로부터의 주도를 바탕으로 교사는 가습산소 또는 영양보급관을 제공하거나 결장루낭을 비워줄 수 있다.

2. 삽입교수
 삽입교수는 여러가지 서로 다른 목표들을 위한 다양한 기술들을 동시에 가르칠 수 있다는 것을 제안한다. 언어, 손을 뻗어 쥐기, 이완, 그리고 머리의 조절과 같은 중요한 기술들은 일상적인 건강관리 절차들과 함께 연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약물 퉁를 시행하기 전에 학생은 꼿꼿이 앉은 자세를 취하고, 준비가 되었음을 알리도록 손을 뻗어 물잔을 만지고, 알약이 약병에서 나오는 것을 시각적으로 따라갈 수 있다. 교사의 도움으로 학생은 약을 입으로 가져가고 물을 더 많이 마셔서 알약을 삼킨다.

3. 부분참여
 학생은 건강관리 절차를 독립적으로 수행할 것을 요구받지 않는 대신에 어느 한 가지의 특별한 건강관리 절차의 부분을 이루고 있는 여러 중요한 기술 요소에 대해 연습기회를 갖거나 참여할 수 있다. 이렇게 하는 것은 학생의 독립, 통제, 그리고 자기결정을 더욱 크게 하는 데 기여한다. 칫솔 잡기와 이를 닦은 후 뱉기, 약물을 투요하는 동안 주시하기와 삼키기, 자세변화필요에 대해 의사소통하기, 또는 관을 통해 음식물을 섭취하는 동안 주사기 잡고 있기와 시각적으로 주시하고 있기와 같은 어느 한 가지 절차의 하위 요소에 참여는 모두 의미있는 참여이며 건강관리 절차들에 기여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