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어기제(defense mechanisms)

방어기제(defense mechanisms)




1. 동일시(identification) 동일시란 인간이 동일시하거나 모방하는 역할 모델을 만드는 것이다. 인간은 어떤 모델이나 완전한 사람의 여러 특성들을 모방하려고 선택할 수 있다. 동일시는 종종 동성의 부모에게 이루어지고 사랑이나 힘에 의해 입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나는 아빠를 너무 많이 사랑해서 아빠처럼 되고 싶어요” 또는 “내가 아빠를 이길 수 없으면, 내가 클 때까지 아빠와 한편이 될 거에요”라고 한다. 성취도가 낮은 아동은 “나는 고등학교를 중퇴한 학생을 알고 있는데 그는 돈이 많아요. 그는 학교 다니는 것이 시간 낭비라고 해요”라고 말할 수 있다.

2. 치환(displacement) 치환은 본능이 차단될 때 주요 대상으로부터 나온 에너지를 대체 대상으로 다시 돌리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부모에 대한 분노가 부모로부터 보복의 두려운 때문에 형제나 다른 대상에게로 향하게 된다. 성취도가 낮은 아동은 “우리가 공부하는 내용은 너무 지루해서 나는 결코 좋은 성적을 받을 수 없을 거에요”라고 말할 수 있다. 이 아동은 교사에 대한 적대감을 과목 탓으로 돌리는 것이다.

3. 억압 및 억제(repression and suppression) 억압은 의식 중의 위험한 기억, 갈등, 생각, 또는 지각을 억지로 무의식 속으로 들어가도록 하여 억눌려진 요인이 다시 나오지 못하도록 규제하는 것이다. 억압에서 보면 사람은 무의식적으로 기억에서 고통스러운 생각을 저지한다. 억제는 동일한 일을 하고자 하는 의식적인 노력이다. 성취도가 낮은 아동은 이전에 실패한 학교 경험에 대한 고통스러운 기억들을 억압하여 왔다고 할 수 있다.

4. 투사(projection) 투사는 자신의 특성들을 외부 세계의 다른 사람이나 사물 탓으로 돌리는 것이다. 예를 들어, 교사 자신이 학급에서 아이들을 좋아하지 않는다는 것을 인정하기가 싫기 때문에, 그 대신 아이들이 자신을 좋아하지 않는다고 말할 수 있다. 이처럼 교사는 자신이 학생들을 싫어하는 것을 거꾸로 학생이 자신을 싫어한다고 투사한다. 성취도가 낮은 아동은 “선생님은 나를 좋아하지 않아. 나를 바로라고 생각해”라고 말할 수 있다.

5. 반동형성(reaction formation) 반동형성은 억압되어온 것들에 대한 정반대의 태도나 특성을 발달시키는 것을 말한다. 불안을 유발하는 충동들은 의식 속에 정반대에 것으로 대치된다. 예를 들면 “나는 폭주를 좋아해”는 “술은 불법으로 공표되어야 해"로 대치된다. 성취도가 낮은 아동은 ”나는 얼간이가 되길 원하지 않아요. 얼간이는 단지 선생님에게 좋은 성적을 받기 위해 아첨해요“

6. 합리화(rationalization) 합리화는 개인의 행동이 정당하고 합리적이라는 것을 입증하려는 시도이며, 이런 식으로 자기 자신과 다른 사람들에게 승인을 얻고자 한다. 아동들에게 왜 특정한 태도로 행동하는지 물었을 때, 그들은 억지로 논리적인 변명이나 이유를 생각해 내려고 한다. 성취도가 낮은 아동은 “만약 내 어린 동생이 나를 괴롭히지 않았다면, 숙제를 마칠 수 있었을 텐데”라고 말할 수 있다.

7. 부정(denial) 부정은 현실의 불쾌한 측면들에 직면하지 않고자 하거나 불안 유발 자극들을 지각하지 않으려는 것이다. 아동들은 높은 나무들을 오르는 동안 떨어질 가능성을 부정한다. 성취도가 낮은 아동들은 “일이 잘 진행되고 있어요. 나의 성적은 이번에 더 오를 거예요”라고 말할 수 있다. 상담자들은 부정이 어린 아동들에게 흔히 볼 수 있지만 청소년들에게는 부적합하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8. 백일몽(fantasy) 백일몽은 상상을 통해 요구와 좌절된 욕망에 대한 만족을 찾는 방법이다. 백일몽이나 상상 세계는 아동의 실제 세계보다 더 즐겁다. 성취도가 낮은 아동은 “잠깐만요. 언젠가 내가 의사가 되는 걸 선생님이 보게 될 거예요. 그녀는 나의 나쁜 점수를 놀려댄 걸 미안해 할 거예요”라고 한다.

9. 위축(withdrawal) 위축은 수동적으로 되거나 상처받는 것을 피함으로써 자기 관여를 감소시키는 것을 말한다. 위축 아동의 예로는 수줍어하는 아동이나 학교 공포증 아동을 들 수 있다. 위축되어 있고 성취도가 낮은 아동은 자신이 “위험한” 상황들을 피하기 위해 노력하는 만큼 말하지 않을 수도 있다.

10. 주지화(intellectualization) 주지화는 정상적인 애정이나 감정을 불쾌하거나 유해한 상황으로부터 분리시키는 행동이다. 예를 들어, 아동의 개가 차에 치었을 경우 몹시 슬퍼하다가 마음을 억누르며 “우리 개는 실제로 죽는 게 더 나아요. 그 개는 약했고 눈이 멀었었거든요”라고 말한다. 성취도가 낮은 아동은 “나는 학교 밖에서 일할 때 가장 잘 배워요” 혹은 “나는 우리가 학교에서 지루한 일들로부터 배울게 없어요”라고 말할 수 있다.

11. 퇴행(regression) 퇴행은 현재 수준보다 이전 발달 단계로 돌아가는 것이다. 나이든 아동은 신생아가 태어나면 어린애 같은 행동으로 되돌아간다. 성취도가 낮은 아동은 “우리는 온종일 공부만 해요. 휴식과 점심시간이 더 길어야 해요”라고 말할 수 있다.

12. 고착(fixation) 고착은 개인이 현재 발달 단계에서 고통이나 스트레스를 피하기 위해 더 좋은 발달 단계로 항상 되돌아가려는 것이 아니라, 해결하기 더 곤란한 다음 단계로 이동하기보다 현재 발달 수준에 머무르고자 한다는 점에서 퇴행과 다르다. 이러한 경향은 그 사람이 성공하여 왔던 즐겁고 편안한 어떤 상황에 머무르고자 하는 것이다. 상담자들은 종종 의존적이고 성취도가 낮은 아동들을 만나게 되는데, 이들은 대안적인 문제해결을 하거나 새로운 대안행동을 하려고 결단하기가 어렵다.

13. 원상복구(undoing) 원상복구는 비도덕적이거나 나쁜 행동, 또는 그러한 행동을 하려는 욕구에 대한 어떤 속죄의 형태로 나타난다. 일례로, 램프를 깬 후 아동은 그것을 본래 상태로 하기 위해 붙이고자 할 것이다. 성취도가 낮은 아동은 “나는 선생님과 많은 논쟁을 해요. 그렇지만 나는 항상 그것을 보상하기 위해 무언가를 하려고 해요”라고 말한다.

14. 행동화(acting out) 행동화는 금지된 욕구에 의해 생기는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 그것들을 표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복수심에 불타는 아동의 행동이 하나의 예가 된다. 성취도가 낮은 아동은 금지된 아픈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 폭력이나 만행, 또는 절도에 관여할 수 있다.

15. 보상(compensation) 보상은 어떤 다른 생활 영역에 과잉만족함으로써 한 영역에서의 좌절을 감소시키거나 어떤 바람직한 특성을 강조하여 약점을 감추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학급의 어릿광대는 사람의 주의를 끄는 행동을 함으로써 낮은 학업 성적을 보상할 수 있다. 성취도가 낮은 아동들은 먼저 사람의 주의를 끄는 어릿광대가 되거나 낮은 성적을 보상하기 위해 다른 영역에서 과도한 성취를 할 수도 있다.(예를 들면, 스포츠, 취미, 또는 갱 활동)

16. 승화(sublimation) 승화는 종종 문명의 역군이라 부른다. 승화를 통해 사람들은 그들의 리비도의 욕망과 에너지를 생산적이고 받아들여질 수 있는 활동으로 바꾼다. 종종 이렇게 바뀐 에너지는 예술, 과학, 삶의 질 및 문명에 커다란 진보를 가져왔다. 부모들과 교사들은 아동들이 커다란 에너지를 생산적인 곳에 배출할 수 있는 길을 찾도록 잘 도와야 한다. 성취도가 낮은 아동은 TV, 불량 학생 집단 활동, 과식 또는 약물 등에 부정적으로 중독되기 쉬우므로 비구조화된 시간을 많이 주어서는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