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장효과(ceiling effect)

실험 처치가 매우 효과적이거나 검사의 난이도가 너무 낮아서 검사에 응한 모든 대상자들이 매우 높은 점수를 얻은 것이다.
예를 들어, 수학 문제가 너무 쉬워서 집단에 있는 모든 대상자들이 모든 문제를 맞춘 경우이다. 따라서 이런 경우 한 독립변인의 효과가 종속변인에 정확하게 영향을 미쳤는지 알 수 없다. 반대로 대상자들의 수행이 하한에 있을 때는 바닥 효과(floor effect)가 있다고 한다.